커밋하기에는 아직 이른 감이 있으나 main 의 업데이트 사항이 많아
커밋하지 않고 main 브랜치의 업데이트 사항들만 받아와서 다시 작업하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
git stash를 통해 임시 저장하여 main의 업데이트 사항을 받아오면 된다.
00. Stash 후 rebase/merge 하는 방법
1)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 Stash 통한 임시 저장
git stash
2) main 브랜치 이동 후 최신 내용 업데이트
git switch main
git pull origin main
3) 작업 중이던 브랜치로 돌아와 main 변경 사항 병합
git switch 브랜치이름
git rebase main # 혹은 git merge main
4) Stash에서 작업 내용 복원
git stash pop
해당 명령어 사용 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수동으로 해결해주어야 한다.
📌 git rebase 와 git merge 차이
- git merge main : 브랜치를 병합하여 새로운 커밋 생성 (히스토리 복잡해질 수 있음)
- git rebase main : 현재 브랜치의 커밋을 main 브랜치 위로 다시 쌓는 방식으로 커밋 이력 깔끔하게 유지 가능 (히스토리 깔끔)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 stash 사용 방법 (0) | 2025.02.27 |
---|---|
Git branch 생성 방법과 활용 (0) | 2025.02.26 |